이 대화를 계기로 유일한 회장은 아들 유일선을 부사장직에서 해임한다. 기업 이윤 추구라는 교과서적 경영관이 기업인으로서 전혀 틀린 자세는 아니겠지만, 유한양행은 국민 기업이라고 생각했던 유 회장으로서는 받아들이기 쉽지 않았던 것이다. 유 회장은 1969년 경영에서 은퇴하며 경영권을 아들이 아닌 일반사원 출신의 전무이사에게 이양했다. 5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유한양행은 전문경영인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유일한(1895~1971)
선교사를 따라 9세에 도미하여 수학하며 독립운동 참여
미국에서 라초이 식품회사를 설립하여 큰돈을 벌고, 1926년 귀국하여 제약회사 유한양행 설립
정도경영 중시, 기업경영과 독립운동 병행, 1936년 국내 최초로 종업원 지주제
기업은 개인의 것이 아니며 사회와 종업원의 것
1969년 경영에서 은퇴하며 회사 경영권을 아들이 아닌 전문경영인에게 인계. 지금까지도 전문경영인 체제
은퇴하기 전 자신의 혈연, 친척들을 전원 해고하여, 전문경영인이 소신껏 경영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사후 공개된 유언장을 통해 자신의 소유주식 전부를 ‘한국 사회 및 교육원조신탁기금’에 기증
자신의 모든 소유를 자식들에 대물림하지 않고 ‘전 재산 사회환원‘한 미증유의 사건이자 귀감
유일한 회장의 기업가 정신
애국애족, 납세보국, 인재 양성, 근면정신을 강조하는 청지기 사상, 창조적 기업가정신, 기업의 사회적 책임